기판력 [旣判力, materielle Rechtskraft]

posted Jul 14,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확정판결을 받은 사항에 대해서는 후에 다른 법원에 다시 제소되더라도 이전 재판내용과 모순되는 판단을 할 수 없도록 구속하는 효력을 말한다. 이전 재판의 내용과 다른 판단을 하게 되면 재판의 모순을 가져와서 혼란이 생기며, 법원측에서도 불필요한 절차를 거듭하게 될 뿐 아니라 당사자 또한 분쟁을 해결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확정판결이 내려지면 동일사건에 대해서 다시 제소할 수 없게 한 것이다.

 

민사소송법의 기판력
기판력을 가지는 재판〉 확정된 본안()의 종국판결()이 주가 되지만, 소송판결도 확정되면 판단된 소송요건의 흠결()에 관하여 기판력을 가지게 된다. 결정·명령도 실체적 권리관계에 대한 종국적 판단인 때에는 기판력을 가진다.

〈기판력의 범위〉 ① 표준시(): 형사소송이 과거의 일정시()에 있어서의 범죄행위의 가벌성()을 문제로 하는 것과는 달리, 민사소송에서는 대상인 사법상의 권리관계가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판력의 표준시가 문제된다. 표준시는, 종국판결에서는 최종의 사실심()의 구술변론 종결시, 지급명령()에서는 명령 송달시, 각종 조서에서는(긍정설의 경우) 그 성립한 때이다. 기판력은 표준시에서의 권리관계를 확정하고, 이에 한해서만 후소의 재판의 판단을 구속한다. 표준시 이후에 생긴 권리관계의 변동에 관하여는 기판력은 미치지 아니한다.

② 객관적 범위(물적 한계): 판결 중 기판력이 생기는 사항의 범위는, 판결주문 중의 판단에 한하지만, 예외로서 판결이유 가운데의 판단이라도 상계()의 항변에 대한 판단에는 기판력이 생긴다(민사소송법 216조 2항).

③ 주관적 범위(인적 한계): 기판력이 원고·피고(당사자)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나, 당사자와 동일한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제3자에게도 미친다(218조).

〈기판력의 양면성〉 기판력은 그 미치는 자 상호간에 유리 또는 불리하게 작용한다. 반드시 승소자에 대하여 유리하게만 작용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불리하게도 작용한다.

일사부재리와의 관계〉 일사부재리란 확정판결에 의한 기제사건()에 관하여는 당연히 소권()이 소멸되고, 재소()가 항상 부적법으로 취급되는 원칙을 말한다. 통설은 형사소송과는 달리 민사소송에서는 표준시의 권리관계를 확정하는 것이므로 시적() 요소를 넣어서 생각하면 엄밀하게는 동일사건이란 있을 수 없다. 민사소송에서의 기판력의 작용은 일사부재리의 효과와는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소송물론()에 입각한 학설은, 기판력의 본질을 일사부재리의 이념에서 구하고 있다.  

 

형사소송법의 기판력
〈기판력을 가지는 재판〉 유죄·무죄의 실체적 판결, 면소()의 판결에서 생긴다. 공소기각 ·관할위반 등의 단순한 절차적 형식판결에서는 생기지 않는다.

〈기판력과 실체적 확정력〉 통설은, 실체판결이 형식적으로 확정되면 형식적 확정력과 함께 실체적 확정력이 생기며, 실체적 확정력의 내부적 효과가 집행력이고 외부적 효력이 일사부재리의 효력이라고 한다. 잘못하여 다시 공소()가 제기되더라도 실체적 확정력의 효과로 인해 다른 판단을 할 수 없으므로 면소가 선고된다. 형사소송법상의 기판력은 일사부재리의 효력만을 가리킨다고 한다. 이에 대하여 유력한 비판이 전개되고 있다.

〈기판력의 범위〉 ① 표준시: 계속범·상습범 등의 행위가 확정판결 전후에 걸쳐서 행해진 경우에 문제가 된다. 이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현행법 아래에서 법원은 종결한 변론을 언제든지 재개할 수 있고, 당사자도 변론의 재개를 신청할 수 있으므로(형사소송법 305조), 기판력이 미치는 표준시는 판결선고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② 객관적 범위: 기판력은 단지 현실적인 판단의 대상이 된 공소사실뿐 아니라, 그와 단일 또는 동일한 관계에 있는 공소사실 전체에 미친다는 것이 통설이다.

③ 주관적 범위: 피고인과 검사 사이에만 미친다.